본문 바로가기
PC

맥북 독(Dock) 완벽한 설정 방법

by 평범한회사원P씨 2023. 5. 21.
반응형

맥북을 처음 사용하게 되면 윈도와 다르게 하단에 독(Dock) 바가 있어 오히려 불편하게 느껴지실 수도 있습니다. 하지만 독(Dock)의 사용방법에 대해 제대로 알게 되면 윈도 보다 더 쉽고 간편하게 실행하고 관리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맥북의 독(Dock) 설정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반응형

 

맥북 독(Dock) 기본적인 설정 변경하는 방법

설정 방법은 너무나 간단합니다.

 

1. 맥북의 하단에 있는 독(Dock) 바에 트랙패드를 통해 우측 마우스 클릭을 합니다.

2. [Dock 환경설정] 을 클릭하여 접속합니다.

3. 독(Dock)의 크기나 화면에서의 위치 등을 조절합니다.

 

설명으로 이해가 어려우신 분을 위해 사진과 설명을 덧붙이겠습니다.

 

 

먼저 하단에 있는 독(Dock) 바에 오른쪽 마우스 클릭을 하여 [Dock 환경설정]으로 접속해 주세요. 그리고 독(Dock)의 크기나 화면에서의 위치를 왼쪽, 하단, 오른쪽 등으로 옮기실 수 있습니다. 해당 설정 창에서 독(Dock)의 윈도 최소화 효과를 변경할 수도 있으며 자동으로 독(Dock)을 가리고 마우스가 다가가면 자동으로 독(Dock) 바가 보이도록 설정할 수 있습니다. 

 

맥북 독(Dock) 바 삭제 / 애니메이션 빠르게 설정 / 구분선 추가

만약 독(Dock) 바에서 지우고 싶은 응용 프로그램이 있다면 휴지통으로 드래그&드롭 형식으로 독에서 제거가 가능합니다. 만약 '자동으로 Dock 가리기와 보기'를 통해 독을 숨겼다가 마우스를 가져다 대면 다시 나타나게 설정했을 경우 독이 다시 나타날 때 올라오는 애니메이션이 느리다고 생각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 방법 또한 해결할 수 있는데요.

 

1. [Finder] - [응용 프로그램] - [유틸리티] - [터미널] 을 찾아 실행해 주세요.

2. 아래에 있는 코드를 입력한 후 엔터키를 눌러 완성합니다.

defaults write com.apple.dock autohide -bool true && defaults write com.apple.dock autohide-delay -float 0 && defaults write com.apple.dock autohide-time-modifier -float 0 && killall Dock

 

3. 만약 독(dock)의 애니메이션을 다시 사용하고 싶다면 아래의 코드를 다시 입력해 주세요.

defaults delete com.apple.dock autohide && defaults delete com.apple.dock autohide-delay && defaults delete com.apple.dock autohide-time-modifier && killall Dock

 

4. 구분선 추가의 방법 또한 터미널을 실행하여 아래 박스 안의 명령어를 입력 후 엔터를 눌러 완료합니다.

defaults write com.apple.dock persistent-apps -array-add '{"tile-type"="spacer-tile";}'; killall Dock

 

 

마무리

오늘은 맥북의 독(Dock) 설정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해당 기능들을 잘 활용하여 여러분의 입맛에 맞도록 설정을 마치고 조금 더 편리하게 맥북을 사용하며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해 보시길 바랍니다.

 

 

반응형

댓글